1월1일이었을거다. 101동 1507호의 짐은 이미 트럭을 타고 떠났고 우리 가족은 찜질방 수면실에서 잠을 청해야하만 했다. 설레기도 하고 두렵기도 해야했으나, 그때 나는 '새로운 나의 집'이라는 공간이 너무나도 궁금해서 빨리 보고싶은 마음에 일찍 잠에 들었었다. 주말마다 새벽에 목욕탕 첫물에서 놀던 친구들말고 아버지와 어머니, 동생이 옆에 있으니 기분이 좀 이상하긴 했다. 거실에서 들리는 외할머니의 색색 거리는 잠 소리에 그 순간이 잠시 왔다. 10 년 간 '나'라는 사람이 기저부터 드러날듯 말듯한 무의식까지 빚어올려진 이 곳은 정말 의미가 깊다. 죽음에 대해선, 당하는 것도, 행하는 것도, 보는 것도 익숙했다. 누군가들은 몇번이나 내 마음속에서 죽어있었고, 누군가는 그곳을 향해 달려갔다. 나는 이러한 일들 앞에서 너무나도 무력했다. 계속해서 방관하고 도피하고 무시해왔다. 이젠 이곳에서조차 달아나려한다. 내일부터 불을 켜지않으면 동굴아니 깊은 몸 속 같은 이곳의 기운을 느낄 수 없을 것이다. 기록을 많이 해두려했는데, 그림은 커녕 사진도 제대로 못찍었다. 이 음습한 허물속으로 다시 들어가고 싶어지면 어쩌지? 어쩌면 평생 근원적인 자위행위가 될지도 모르겠다. 이 허물껍데기를 다시 뒤집어쓰려는 것이
Here are the young men, the weight on their shoulders,
Here are the young men, well where have they been?
We knocked on the doors of hell's darker chamber,
Pushed to the limit, we dragged ourselves in,
Watched from the wings as the scenes were replaying,
We saw ourselves now as we never had seen.
Portrayal of the trauma and degeneration,
The sorrows we suffered and never were free.
Where have they been?
Where have they been?
Where have they been?
Where have they been?
Weary inside, now our heart's lost forever,
Can't replace the fear, or the thrill of the chase,
Each ritual showed up the door for our wanderings,
Open then shut, then slammed in our face.
Where have they been?
Where have they been?
Where have they been?
Where have they been?